홈  >  규정·규칙  >  원고작성원칙


원고작성원칙

본 학술지에 게재를 희망하는 투고 논문은 「ᄒᆞᆫ글」프로그램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아래의 집필 안내를 따라야 한다. 안내에 제시되지 않은 사항은 Chicago Style 17th Edition 양식을 준수한다.


1. 원고의 종류

1) 특집논문 : 민족문제연구소와 포럼진실과정의에서 추진하는 각종 학술·연구활동의 성과물, 편집위원회에서 선정한 주제에 관한 기획논문으로 간행규정에 따른 심사를 거쳐 게재된다.

2) 일반논문 : 개별 연구자들의 투고논문으로 간행규정에 따른 심사를 거쳐 게재된다.

3) 기획연재·현장소식·기억과 예술·자료소개 : 본 학술지의 목적과 가치 확산을 위해 편집위원회가 기획하여 의뢰한 글로 별도의 심사 없이 편집위원회에서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4) 서평과 논평 : 국내외 학술서와 보고서 등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편집위원회가 의뢰한 글로 별도의 심사 없이 편집위원회에서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2. 심사 대상 논문의 집필 구성 및 체계

1) 원고는 역사와 책임 홈페이지 자료실에 있는 ‘편집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한다.(www.htjr.co.kr)

2) 원고는 표지, 목차, 본문, 각주, 참고문헌, 국문요약과 외국어요약 등으로 구성된다.

3) 국문요약은 제목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3매(15줄 가량)를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어요약은 국문요약과 같은 내용으로 작성한다. 국문요약 및 외국어요약 하단에 ‘주제어(Keyword)’ 4-6개를 표기한다.

4) 본문 글자는 신명조 10point, 장평 97%, 자간 –5%로 하고 줄간격은 160%로 설정한다. 요약, 인용문, 표‧그림의 제목, 참고문헌의 글자 크기는 9point로 작성한다. 각주의 글자 크기는 8.5point, 줄 간격은 130%로 한다.

 

3. 제목, 저자, 목차

1) 논문의 첫 페이지에 논문 제목과 저자의 이름을 명기한다. 저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횡렬로 기재한다. 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수령 정보는 논문 제목에 각주 처리하여 밝힌다. 저자의 이름에 각주로 소속, 직위, 이메일, 간략한 필자 소개를 작성한다.

2) 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 연구공헌도에 따라 제1필자와 공동필자를 구분하여 명시하고, 연구에 참여한 모든 저자의 이름과 소속, 직위를 밝힌다.

3) 장, 절, 항은 1, 1), (1)의 순서로 한다. 목차는 장, 절까지만 표시한다.

 

4. 본문

1)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 외국어(한자)를 괄호 안에 병기 한다.

2) 인명·지명·사건명·논저명 등 고유명사의 경우, 처음 한 번 괄호 안에 원어를 표기한다. 필요에 따라 외국어(한자)만 표기할 수 있다.

3) 문장에서 사용하는 부호는 ‘한글 맞춤법 어문 규범’에 따른다.

 

5. 인용문

1) 모든 인용문은 한글로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하는 내용이 짧을 때는 본문 속에 인용부호(“ ”)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3줄이 넘는 인용문은 문단을 나누어 제시한다. 이 경우 인용문 위, 아래를 한 줄씩 띄운다.

3) 문단을 나누어 별도의 문장으로 인용할 때는 인용부호를 붙이지 않는다.

4) 전략·중략·후략 등 문장을 생략 할 때는 말줄임표(……)를 이용하며, 저자의 편의에 따라 굵은체로 쓰거나 밑줄을 그어 강조한다.

5) 출처는 각주에 밝히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같은 자료를 반복적으로 인용하는 경우 내주로 처리할 수 있다. 재인용은 축약된 각주 표기를 따른다.

 

6. 각주, 축약표기, 참고문헌

1) 가급적 모든 주는 각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각주에 인용 문헌의 서지정보를 최대한 구체적으로 밝힌다.

3) 축약 표기에는 발행정보를 제외한 저자명, 간략한 서지사항, 인용면수를 밝힌다.

3) 하나의 각주에 여러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 각 문헌 사이에 세미콜론( ; )을 넣어 구분한다.

4)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한 모든 문헌 정보를 포함하며,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하지 않은 문헌은 포함하지 않는다.

5) 참고문헌은 한글 문헌, 로마자 표기 구미어 문헌, 기타 언어(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 순서로 배치한다.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기타 언어는 해당 언어의 표기법 순서에 따라 배열한다.

6) 참고문헌에서 동양권 저자는 이름을 모두 표기하며, 로마자 저자명은 저자의 성을 앞에 제시한 후 쉼표 뒤에 한 칸 띄우고 이름을 표기한다.

7) 참고문헌에서 단행본은 저자명, 서지명, 역자명, 편자명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논문은 저자명과 논문명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① 일반단행본

- 각주 작성 순서: 저자명,∨서명,∨역할을 달리한 저자,∨판차∨(출판사,∨발행년),∨인용면수.

- 참고문헌 작성 순서: 저자명.∨서명.∨역할을 달리한 저자.∨판차.∨출판사,∨발행년.

- 동양어 서명과 학술지명은 겹낫표(『 』) 안에, 서양어 서명과 저널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인용면수는 서지사항 다음에 쉼표( , )를 넣고 숫자로만 표기한다. 쪽이나 p. 등은 생략한다.

- 국내외 도서 모두 발행지를 생략한다.


각주

• 이순우,『식민지 비망록1』(민연, 2024), 256.

• 우치다 준,『제국의 브로커들』, 한승동 옮김, (길, 2020), 54.

• 在日朝鮮人団体辞典日韓共同編纂委員会,『在日朝鮮人団体事典1895~1945-電子書籍版』(株式会社ゆまに書房, 2025), 81.

• Newton N. Minow and Craig L. LaMay, Inside the Presidential Debates: Their Improbalbe Plast and Promising Fu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24-25.

• Gabriel Gargia Marquez, Love in the Time of Cholera, trans. Edith Grossman (Cape, 1988), 242-255.

축약각주

• 이순우,『식민지 비망록1』, 256.

• Minow and LaMay, Inside the Presidential Debates, 24-25.

참고문헌

• 이순우.『식민지 비망록1』. 민연, 2024.

• 우치다 준.『제국의 브로커들』. 한승동 옮김. 길, 2020.

• 在日朝鮮人団体辞典日韓共同編纂委員会.『在日朝鮮人団体事典1895~1945-電子書籍版』. 株式会社ゆまに書房, 2025.

• Minow, Newton N., and LaMay, Craig L. Inside the Presidential Debates: Their Improbalbe Plast and Promising Fu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 Marquez, Gabriel Gargia. Love in the Time of Cholera. translated by Edith Grossman. Cape, 1988.


 ② 편저, 학술지 논문

- 논문명은 모두 겹따옴표(“  ”) 안에 표기한다.

- 동양어 간행물의 명칭은 겹낫표(『  』) 안에, 서양어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게재지의 ‘권’과 ‘집’은 숫자만 표기하고, ‘호’는 동양어의 경우 ‘00호,’ 구미어의 경우 ‘no. 00’로 표기한다. 예컨대 ‘7권 3호’는 ‘7, 3호’로, ‘Vol. 7 no. 3’은 ‘7, no. 3’으로 표기한다.

- 인용면수는 서지사항 다음에 콜론( : )을 넣고 숫자만 표기한다. 쪽, 면, p., pp., 등은 생략한다.

- 참고문헌에서 학술지 논문은 발행연도 다음에 콜론( : )을 넣고 수록 면수를 표기한다.


각주

• 이재승, “식민주의와 국제법,”『역사와 책임』15호, (2024): 74.

• 김민철, “조선인들은 어떻게 끌려갔을까,”『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생각정원, 2017): 33.

• Kathleen Doyle, “The Queen Mary Psalter,” in The Book by Design: The Remarkable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Invention, ed. P. J. M. Marks and Stephen Park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 64.

• Regnia M. Schwartz, “Nationals and Nationalism: Adultery in the House of David,” Critical Inquiry 19, no. 1 (1992): 131-132.

축약각주

• 이재승. “식민주의와 국제법,” 74.

• Doyle, “The Queen Mary Psalter,” 64.

참고문헌

• 이재승. “식민주의와 국제법.”『역사와 책임』15호, (2024): 74-123.

• 김민철. “조선인들은 어떻게 끌려갔을까.”『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 생각정원, 2017.

• Doyle, Kathleen. “The Queen Mary Psalter.” in The Book by Design: The Remarkable Story of the World’s Greatest Invention. edited by P. J. M. Marks and Stephen Parki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

• Schwartz, Regnia M. “Nationals and Nationalism: Adultery in the House of David.” Critical Inquiry 19, no. 1, (1992): 131-149.


③ 신문 및 전자자료

- 국문 신문·잡지 등의 기사는 필자가 있는 경우 필자명,∨“문건(기사)명,”∨『신문(잡지)명』,∨발행연월일 순으로 표기한다. 무기명 기사는『신문(잡지)명』,∨“문건(기사)명,”∨발행연월일 순으로 표기한다.

- 서양어 신문·잡지는 신문(잡지)명을 이탤릭체로 하고 발행일을 월일년 순으로 표기한다. 표기 순서는 국문 신문·잡지와 같다.

- 인터넷을 통해 접근한 신문·잡지·동영상 등 전자자료는 게시자명,∨“자료명,”∨웹사이트명,∨게시일 또는 검색일,∨URL. 순으로 표기한다.


각주

•『민족사랑』, “군사쿠데타와 국가폭력에 저항한 의인들,” 2024년 12월 24일.

• 나랑, “침묵도 공범, 기지촌의 진실 밝혀야,”『일다』, 2015년 7월 6일, https://www.ildaro.com/7150.

• Rebecca Mead, “Terms of Aggrievement,” New Yorker, December 18, 2023, 23-24.

• Dani Blum, “Are Flax Seeds All That?,” New York Times, December 13, 2023, https://www.nytimes.co

m/2023/12/13/well/eat/flax-seeds-benefits.html.

• United Nations Headquarters, “State of Palestine - President Addresses United Nations General Deb

ate, 79th Session,” Youtube, September 26, 2024, https://www.youtube.com/watch?v=C0ZUAamWPW.

축약각주

•『민족사랑』, “군사쿠데타와 국가폭력에 저항한 의인義人들.”

• 나랑, “침묵도 공범.”

• Mead, “Terms of Aggrievement,” 23-24.

참고문헌

•『민족사랑』, “군사쿠데타와 국가폭력에 저항한 의인義人들,” 2024년 12월 26일.

• 나랑. “침묵도 공범, 기지촌의 진실 밝혀야.”『일다』, 2015년 7월 6일. https://www.ildaro.com/7150.

• Mead, Rebecca. “Terms of Aggrievement.” New Yorker, December 18, 2023.

• Blum, Dani. “Are Flax Seeds All That?.” New York Times, December 13, 2023. https://www.nytimes.co

m/2023/12/13/well/eat/flax-seeds-benefits.html.

• United Nations Headquarters. “State of Palestine - President Addresses United Nations General Deb

ate, 79th Session.” Youtube, September 26, 2024. https://www.youtube.com/watch?v=C0ZUAamWPW.


7. 기타 사항

1) 표와 그림 등은 예시와 같이 번호와 제목을 표기하며, 구체적인 출전을 제시한다.

• <표1> 주요 대학 조선유학생 대비 해방 후 경력 확인 조선유학생 비율

• <그림1> 영국 위임통치 팔레스타인


2) 보고서는 고유번호를 괄호로 묶어서 보고서명 다음에 제시하고 출판정보가 있다면 표기한다.

• 신선미‧김영옥‧김종숙‧안준기.『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14).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 Fabián Salvioli.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promotion of truth, justice, reparation and guarantees of non-recurrence, Fabián Salvioli, on his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2023.8.6., A/HRC/

54/24/Add.1)

 

3) 고전 문헌의 경우 출전만 표기할 수 있다.

 

※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시카고 양식 논문 가이드(https://www.chicagomanualofstyle.org/home.html)를 참고하며, 가이드에서 확인 할 수 없는 사례는 󰡔역사와 책임󰡕의 관례를 따른다.

Tel. 02-969-0226 | Fax. 02-965-8879 | hnres@naver.com

우편번호 04310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47다길 27, 3층(청파동2가 서현빌딩) 

민족문제연구소·포럼진실과정의


Copyright ⓒ 민족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Tel. 02-2139-0426 | Fax. 02-965-8879 | hnres@naver.com
우편번호 04310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47다길 27, 3층(청파동2가 서현빌딩) 

민족문제연구소·포럼진실과정의

Copyright ⓒ 민족문제연구소 All Rights Reserved